가을은 풍성한 맛으로 온다. 산해진미가 전국에 펼쳐지고 바야흐로 미식가의 세상이 된다. 요즘 세상 널린 게 음식이라 어디서나 원하는 음식을 맛볼 수 있다. 하지만 역시 현지에서 머거야 제 맛인 법. 9월에 꼭 맛봐야 할 전국의 가을 대표 음식. |
아삭아삭, 고소하고 달콤한 가을 별미 '전어' 가을의 초입인 9월은 여름철 무더위에 잃어버렸던 입맛을 되찾는 계절이다. 특히 바닷가에서 나오는 음식이 제철이다. "봄 도다리, 가을 전어"라는 말이 있다. 그만큼 가을에 먹는 전어의 맛이 일품이란 뜻이다. 봄에 산란한 전어는 여름을 관통하면서 토실토실 살을 찌워 가을에 절정을 이룬다. 이 때문에 씹을 때 고소하고 감칠맛이 감도는 것이 특징이다. 그러다가 부산·경남 지방에서 인기를 얻자 몸값이 올랐고, 충남 서천군 홍원항에서 전어축제를 벌이면서 전국적인 유명세를 타게 됐다. 맛이 좋아 사먹는 사람이 돈을 생각하지 않기 때문에 전어(錢魚)라고 했고, 서유구는 "임원경제지"에서 "가을 전어 대가리엔 참깨가 서 말"이라고 말했을 만큼 옛부터 인기 메뉴였다. 또한 "집 나간 며느리도 전어 굽는 냄새를 맡으면 돌아온다"다고 했듯 냄새 또한 잃었던 입맛을 되찾게 해준다. 뼈째 썰어낸 전어회는 오드득오드득 씹히는 맛이 제격이고, 갖은 양념에 무쳐먹는 무침도 별미다. 무엇보다 숯불이나 연탄불 위에 구워먹는 전어구이는 최고 인기 메뉴다. 일년을 기다려 천리길이 멀다않고 달려오는 마니아들이 적지 않을 정도다. |
서천 홍원항전어축제 |
|
|
서울 맛집 - 다미생선구이 |
|
|
현지 맛집 - 삼삼일일회센터 |
|
|
|
가을 식탁의 귀족 '대하' 대하는 큰새우라는 뜻이지 특정한 종류를 가리키는 말은 아니다. 서해안에서 가장 많이 잡히는 고려새우는 껍데기에 세로 줄이 없고 몸빛이 붉은및이 도는 회색으로 큰 것은 25㎝나 되는 것도 있다. 전국 유통량의 60% 이상이 남당항을 통해 전국으로 팔려나간다. 남당항에 가면 소금구이의 진수를 맛볼 수 있다. 원래 이 마을 사람들은 배를 갈라 내장을 꺼낸 후 기름에 튀겨먹었는데, 지금은 방법이 바뀌었다. 다시 대하를 올린 다음 뚜껑을 덮고 가열하면 빨갛게 익어가는 대하를 볼 수 있다. 대하탕도 별미다. 꽃게탕과 조리법은 별반 차이가 없다. 꽃게 대신 대하가 주 재료로 사용되는 것이다. 담백하면서도 알싸한 국물 맛은 꽃게탕과 색다른 느낌을 전해준다. 맛은 자연산과 별반 차이가 없다. 하지만 대하도 성질이 급해 물 밖으로 나오면 금새 죽어버리기 때문에 살아있느냐를 놓고 자연산과 양식을 구별하기도 한다. |
남당대하축제 |
|
|
서울 맛집 - 홀리차우 |
|
|
현지 맛집 - 수평선횟집 |
|
|
|
가을의 미인 '송이' 자연의 미인이라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송이축제는 전국 먹거리축제 중에서 으뜸에 속한다. 자연산 송이를 직접 따러 나선다는 매력적인 체험 행사와 더불어 값비싼 송이 가격이 축제 시즌에는 떨어지기 때문에 이 때 저렴하게 사먹을 수 있기 때문이다. 축제의 하이라이트는 뭐니뭐니 해도 삼림욕을 즐기면서 직접 송이를 따보는 송이캐기 체험. 참가비는 없지만 사전 예약은 필수다. 읍내에는 먹을거리장터가 선다. 청량산 산 중턱에 턱 하니 버티고 있는 청량사에서는 산사음악회가 자주 열리고, 태백과 가까운 백천계곡은 열목어가 서식하는 곳이다. 한과로 유명한 닭실마을에 들러 맛있는 한과도 사갈 수 있다. 생산량은 많지만 제대로 대접받지 못하는 울진 대게, 울진 송이를 두고 하는 말이다. 울진 또한 소나무 좋기로 유명한 곳이며, 그래서 송이가 많이 나는 곳이다. 봉화보다 하루 먼저 축제를 연다. 울진의 금강송 군락지는 가족 단위 여행객이 산책하기에 너무 좋은 곳이다. 또한 덕구온천과 백암온천이 있이 송이 체험 후 다양한 여행스케줄을 꾸릴 수 있다. |
송이축제 |
|
|
서울맛집 - 리츠칼튼 서울 일식당 하나노조 |
|
|
현지 맛집 - 용두식당 |
|
|
|
지느러미에서 다리까지 영양 덩어리 '오징어' 피로 회복에 도움이 되는 타우린이 육류보다 20배 이상 함유되어 있다는 사실이 이를 뒷받침해준다. 성인병 예방은 물론, 노화를 늦추는 효과도 있다. 오징어는 콜레스테롤을 함유하고 있지만 육류와 달리 이롭다. 삶아 먹거나 다채로운 조리법으로 다양한 맛을 즐길 수 있는 가장 쉽고 편한 대중적인 식재료다. 오징어 주산지인 속초 일대에서는 오징어순대·오징어 식해 등 다양한 요리로 즐겨먹는다. 우리나라 사람들이 즐겨먹는 오징어는 9월부터 성어기에 접어든다. 5~6월에는 10㎝ 전후의 일명 "총알오징어"라 불리는 작은 햇물 오징어가 주를 이룬다. 9~12월에는 오징어 몸통이 가장 크고 살집이 두터워 쫀득한 식감도 최고에 이른다. 또 가장 많이 잡히는 시기다. 시간이 지날수록 표면이 하얗게 된다. 또 오징어는 산성식품이므로 되도록 알칼리성인 채소와 곁들여 먹는 것이 좋다. |
동해 오징어축제 |
|
|
서울 맛집 - 해남갈비 |
|
|
현지 맛집 - 진양횟집 |
|
[출처: 조인스닷컴]
|
'행복예감 > 음식 ♤ 건강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월별로 맛있는 생선 (0) | 2008.10.05 |
---|---|
최고의 짬뽕맛 - 율량반점 (0) | 2008.10.02 |
[스크랩] 능이버섯 예약판매 밤버섯 판매합니다. (0) | 2008.09.23 |
오장원 - 수타짜장면발 옛날손짜장 (0) | 2008.09.23 |
싱싱한 우리의 것이 좋아요 - 몸도 튼튼 마음도 튼튼 (0) | 2008.09.1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