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사들이 생각하는 최고의 술 안주는 무엇일까?
강재헌(서울백병원 비만센터), 김정인(인제대 식품생명과학부),
이장훈(경희의료원 한방내과), 한영실(숙명여대 식품영양학과)교수가
'최고의 술 안주 7'을 추천한다.
▲손상된 간세포 재생 돕는‘수육’
단백질은 술로 손상된 간세포의 재생을 돕는다.
그러나 소나 돼지고기 같은 육류에는 양질의 단백질이 풍부하지만
포화지방이 많은 것이 흠.
수육으로 먹으면 이런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다.
껍질을 제거한 닭고기도 좋다.
햄, 소시지, 베이컨 같은 가공육은 포화지방이 더 많으므로 좋지 않다.
▲뇌 세포 영양 공급하는‘버섯’
버섯에는 라이신과 트립토판 같은 필수 아미노산이 풍부해
술로 인해 손상된 뇌 세포에 영양을 공급한다.
또 간의 독성을 완화시키는 베타-글루칸이 풍부하고,
알코올 대사를 돕는 비타민B2와 비타민C가 많다.
버섯의 좋은 성분은 모두 수용성이므로 버섯을 물에 오래 불리거나,
버섯 불린 물을 따라 버리고 조리해선 안된다.
조리할 때는 물로 살짝 헹군 뒤 짜지 않게 조리해 국물까지 모두 먹는다.
▲주당에게 부족한 엽산 많은 ‘곶감’
술로 인해 부족해질 수 있는 엽산의 함유량이 높고,
에너지 효율이 좋은 과당과 비타민C도 많다.
저장성이 좋아 언제든지 간단하게 술안주 삼을 수 있다.
호두와 함께 먹으면 맛이 좋을 뿐 아니라 콜레스테롤 수치도 낮아진다.
▲간 해독하는‘굴·조개’
고단백·저지방 식품일뿐 아니라 간 해독을 돕는 타우린과 베타인 성분도 풍부하다.
특히 굴은 겨울이 제철이므로 연말 술자리에 더없이 좋은 안주다.
음주 시 배부르지 않게 포만감을 얻고 싶다면 굴이나 조개로 전을 만들어
먹는 것이 좋고 배나 미나리, 배추 겉절이와 함께 무침을 해먹으면
비타민C를 보충할 수 있다.
▲산성화된 신체 중화하는 ‘미역’
미역 등 해조류는 요오드, 칼슘, 철 등이 많이 함유된 알칼리성 식품으로
알코올 분해 시 생기는 아세트알데히드로 인해 산성화된 신체를 중화시키는데
효과적이다. 또 술을 마시면 체내 칼륨이 소변으로 다량 배출되는데
미역에는 칼륨이 풍부해 술 안주로 안성맞춤이다.
미역을 기름과 함께 조리하면 각종 영양성분의 흡수율이 높아진다.
미역 초무침이나 미역국을 끓일 때 참기름을 한 방울 떨어뜨리면 좋다.
▲알코올성 치매 예방하는 ‘생밤’
술을 마시면 비타민 B군이 파괴되며, 특히 비타민B1(티아민)의 결핍은
알코올성 치매를 유발할 수 있다.
밤의 비타민B1 함량은 쌀의 4배 이상이며, 알코올 분해를 돕는 비타민C도 풍부하다.
다른 과일에 비해 탄수화물 함량이 높아 빈 속에 술을 마실 때 포만감을 느끼게 한다.
또 밤 속의 단백질이나 불포화지방산은 간을 보호한다.
먹기 편하고 뒷맛이 깔끔해 옛날부터 주안상(酒案床)에 자주 오르내렸다.
▲뇌신경 세포 복원하는 ‘고등어·꽁치’
과음을 하면 뇌신경 세포가 파괴된다.
고등어, 꽁치에는 뇌신경 조직에 많이 함유돼 있고
기억력을 증진시키는 DHA, EPA가 풍부하게 함유돼 있다.
또 나이아신이 풍부한데 알코올을 간에서 분해하는데
필수적인 효소인 NAD는 나이아신으로부터 만들어진다.
또 고단백·고칼슘 식품이다.
튀김은 열량이 높고 DHA, EPA같은 좋은 지방이 변형될 수 있으므로
찜을 해먹는 것이 가장 좋다.
'행복예감 > 음식 ♤ 건강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향토요리 올갱이해장국 (0) | 2009.02.18 |
---|---|
[스크랩] [일식]식재료 명칭 입니다 (0) | 2009.02.04 |
무안뻘낙지 - 먹통낙지 (0) | 2009.01.07 |
남산숯불갈비 (0) | 2008.12.28 |
[스크랩] 상주 곳감 만들기 (0) | 2008.12.17 |